자동차는 이렇게 95

제네시스 G80의 경쟁상대는 무한하다

뒷돈받고 하는 유튜버나 기자도 있을 수 있지만 ​ 일반적으로 모든 매체에서 돈을 받고 기사를 쓰거나 리뷰를 하진않는다 ​ 대부분 인터넷 카더라가 많다 ​ ​ ​ 대부분의 리뷰어는 제네시스 신형G80의경우가 렉서스를 이겼다고 한다 ​ 렉서스는 5년전만해도 웬만한 독일차보다 앞선느낌도 있었다 ​ 네임밸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세계적으로는 이미 명차였다 ​ ​ ​ ​ 그런 렉서스를 이겼다라는건 ​ 제네시스가 원래 국내에서 실용면에서 앞도적인데 ​ 품질까지 세계적으로 따라갔다는것과 같은 말이다 ​ ​ ​ 갑자기 최근들어서 예전에 칭찬하던 항목을 까기 시작하는 리뷰어가 있다 ​ 아마도 예전에 작업하던곳과 각을 세우려고 일부러 그러는거같다 ​ 여론과 다른 메이커만 밀고있어서 점점 산으로 가고있다 ​ ​ ​ ​ 제네시스..

제네시스 GV70은 동일 가격대에 경쟁자는 누구일까?

유튜브로 관심있는분들은 이미 많이들 검색하고 봤을텐데 ​ 대부분 의외로 잘만들어서 놀랍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 유명한 현까분들도 마찬가지 반응인걸보니 ​ 동일 가격대에서 독3사 권하기가 민망해보이는게 사실이다 ​ ​ ​ ​ 지금은 상향평준화 시대라서 어느 메이커라서 뭐가 떨어지고 하는건 사실 찾아보기 힘들다 ​ 벤츠 GLE GLC GLA BMW x5시리즈 x3시리즈등이 ​ 이미 비교되고 활발한 논쟁이 되는거 자체만으로 이제 수입차는 이미지를 가져가는 시대라고 볼 수 있다 ​ 이정도급의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층들은 대부분 비슷한 급의 차량을 모두 시승해보고 구매한다 그러니 일개 유튜버가 블라블라 하는소리는 현실에서는 어울리지 않는다 실제로 고객이 타보고 결정한건데 왈가왈부하는것은 바보같은 짓이다 모든것은 ..

K8 하이브리드는 준대형 전륜세단의 기준이다

물론 그랜져 풀체인지가 나온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수 있다 ​ 자연흡기 K8은 기름값과 자동차세에서 서민이 타기에 솔직히 부담스러웠다 ​ 그래서 그랜져 광고에서 보면 성공했다는 수식어가 꽤 오래전부터 최신광고까지 모두 나온다 ​ ​ ​ ​ 지인중에 누가 그랜져를 새차로 사면 우스갯소리로 성공했네 라고 하는데 ​ 실제로 그랜져급의 가격 유지비를 여유있게 지불할 능력이 있으면 일반 서민기준으로 성공한게 맞다 ​ 그래서 다들 광고를 보고 욕하지만 실제로는 그 네임밸류는 판매량이 증명해준다 ​ ​ ​ ​ 그런데 그 그랜져급에 세금이 아반떼고 연비가 전기차 급이라면? ​ 말도 안되는일이 벌어진것이다 ​ 1.6터보 하이브리드시스템은 K8이 처음은 아니고 suv들에 이미 적용되어 검증이 되었다 ​ 그런데 여기서 이슈가..

벤츠 s클래스는 2억원대가 진짜다

요즘 벤츠s 클래스가 말이 많다 ​ s350d s400d등 인기모델인데 ​ 기존과는 달리 s580 상급모델대비 차별이 심해졌다 ​ ​ ​ ​ 좋게말하는사람은 컨셉을 달리 한다고 하지만 ​ 휠베이스를 제외하고는 일반인들이 그걸 알기는 어렵다 ​ 겉으로 보기엔 크게 달라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 ​ ​ 그런데 핵심은 뒷자리 승차감이다 ​ s클래스하면 엔진라인업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가 있는데 ​ 그걸 뭉게버린게 사실 실망이 크다 ​ ​ ​ ​ ​ 어떤사람이 5미터가 넘는 초대형세단을 타고 뒷자리 사람안태우고 칼치기를 할까? ​ 의문이 들지만 s350d s400d는 그렇게 설계되었다 ​ 돈이 1억이 훌쩍넘어가는데 이걸 이렇게 타라고? ​ ​ ​ ​ 혼자나 둘이 타기엔 오히려 소형차가 훨씬 재밌게 탄다..

EV6 vs K3 vs 니로(기아 준중형 집안싸움)

모두 준중형으로 분류되는 차종이다 ​ 하지만 가격대나 후륜여부등이 달라서 이 3가지를 비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것이다 ​ ​ ​ 도어의 두께부터 틀리다 ​ k3가 체감될정도로 얇다 ​ 니로와 ev6는 두께감이 다르다 ​ ​ ​ 실내 인테리어는 니로나 k3 비슷한느낌 ​ ev6는 확실히 차세대 모델답다 새로나올 하바니로의 경우는 EV6와 거의 같은 맥락을 유지한다고 보면된다 ​ ​ ​ 앞좌석을 최대한 밀어서 뒷자리에 타면 ​ k3는 못탈정도로 답답해진다 ​ 니로는 전고가 있어서 약간 낫다 ​ 하지만 니로는 뒷자리가 리클라이닝이 안되서 불편하다 ​ ev6는 앞좌석 최대한 뒤로해도 뒤에 타고 여유가 있다 ​ 리클라이닝도 지원해서 고급차느낌도 난다 확실히 후륜베이스인데도 불구하고 E-GMP 플랫폼으로 인해 실내..

K5(dl3)의 최상의 엔진 라인업은 무엇일까?

자동차는 크게 전륜구동 후륜구동 사륜구동 정도로 구분한다 ​ ​ 다른구성도 있지만 최고급모델이나 특수하니 제외하겠다 ​ ​ ​ ​ 전륜구동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회사는 독일의 아우디정도로 볼 수 있다 ​ ​ 사륜 콰트로 기술이 세계적이지만 지금은 사실 상향평준화되서 아우디만의 사륜이 좋다라고만 볼 수 없다 ​ ​ ​ ​ 그래서 요즘 아우디도 저렴하게 전륜구동이 많이 팔리고 있고 실제로 주행감도 대부분 리뷰어들이 좋다고 한다 ​ ​ 굳이 요즘 사륜안사도 된다고 어차피 전륜베이스라서 눈길주행도 크게 무리가 없다는 대부분의 반응들 ​ ​ ​ ​ 근데 K5(dl3)는 3세대 최신바디에 비어만 BMW관계자가 붙어서 하체 세팅이 참 좋다 ​ ​ 그래서 국내 베스트 셀링카인 소나타를 이미 한참 앞서고 있고 이제는 중..

요즘 벤츠는 왜 마감이 아반떼보다 못할까?

자동차메이커들은 각각의 전성시대가 있었다 내가 보기엔 국산차와 넘사벽이라고 할 수 있던 10년전이 대표적이다 5년전부터는 LF소나타의 2세대 바디가 나오면서 많이 차이가 줄어들었다 혹자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여러자동차를 접해보는 입장에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시각에서 차를 본다라면 사실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모를 요소가 상당히 LF소나타 이후로 파악된다 엠블럼 없이 상대하면 동 가격대에서는 사실상 이제 비교가 어렵다 예전에는 독3사는 비싸도 살만한 메이커였다는것은 누구나 인정했다 하지만 지금도 그럴까? 벤츠S클래스 풀체인지가 화제다 네비게이션 마감은 독일 장인이 무색할정도로 아무런 신경을 쓰지 않는듯했다 실제로 소세지가 잘라지는 영상이 화제가 되었는데 이는 5년전에 중국차 마감을..

오딧세이 vs 카니발 vs 시에나 하이브리드

시에나 하브가 나와서 미니밴시장이 크게 달궈지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아빠들은 카니발을 구매하지만 조금 더 디테일한 장점들을 찾거나 희소성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일본 미니밴이 주목받고있다 승차감 부분에서는 많은 차이는 아니지만 오딧세이 시에나 카니발 순이다 그런데 3열의경우는 세차종 모두 일반인이 타면 기분좋게 타기는 어려운게 중론이다 1~2열의 경우를 이야기 하는데 차이를 크게 못느끼는 경우가 더러있어서 가성비가 좋고 옵션사양이 국내소비자에게 맞는 카니발이 가장 많이 팔린다 오딧세이는 5천후반대에 3.5 가솔린으로 연비와 세금이 상당히 높은편이다 그렇지만 희소성이나 약간의 승차감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선택하고 있는데 럭셔리 미니밴이 아니라 그냥 일반 미니밴 시장에서 하기에는 국내에서 유지비대비 효용가치가 적다..

BMW와 애플도 역시 중국바라기인가

제목에 해당하는 두 회사만 해당하는 내용은 아닐것이다 ​ 테슬라도 얼마전에 중국에게 잘 보이려고 여러 배터리기업과 협업하고 말도 잘듣고있다 ​ ​ ​ ​ ​ 뭔가를 사주거나 투자를 해주는건 이해가 가지만 그땅에 팔아야한다고 철학까지 뒤집는건 솔직히 별로다 ​ BMW는 10년전만 해도 다이나믹 드라이빙의 선두주자였다 ​ 엔트리급 모델을 사더라도 단단한 하체와 쫀득한 스티어링 세계최고였었다 ​ 그런데 중국에 수출을 많이하면서 많은 중국인 피드백을 받기 시작했다 ​ ​ ​ ​ 이건 이름값은 있지만 너무 딱딱하고 별로야 ​ 승차감이 이건 왜이래? 이게 명차 맞아? ​ 흔히 볼 수 있는 차알못의 견해이지만 BMW는 무시할 수 없었다 ​ 차를 팔아 수익을 봐야하니 말이다 ​ ​ ​ ​ BMW는 하드한 승차감을 소프..

K5 1.6T는 누구에게 권해도 욕먹지 않는다

국산차의 가성비와 정비편의성 그리고 ​ 1.6리터라는 아반떼급의 가벼운세금 ​ BMW에서 이어받은 하체세팅 ​ 준수한연비와 뛰어난 디자인 ​ ​ ​ ​ ​ 현재 K5의 현주소이다 ​ 모든 리뷰어들의 글과 영상을 참고하고 직접 나도 타봤다 ​ ​ ​ 현재 가격대에서는 이길 수 있는 글로벌 메이커가 전무하다 ​ ​ ​ 터보엔진이라서 뭔가 스포츠성이 커서 딱딱해서 패밀리세단으로는 추천안하는 경향이 있지만 ​ 기아에서는 그것을 고려해서 섬머타이어가 아닌 사계절타이어를 넣었다 ​ 그래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승차감은 무난하고 고속안전성이 높다 ​ ​ ​ 19인치 옵션을 하실분들은 주의하셔야 한다 ​ 멋때문에 했다가 후회하는 분들이 더러있는데 ​ 스포츠 주행성도 잡고 싶다면 사자마자 미쉐린 ps4급의 타이어로 바꾸자..